• 뜨거운 증시…설 연휴 이후 주목할 변수는?

    뜨거운 증시…설 연휴 이후 주목할 변수는?

    [ad_1]

    연합뉴스
    최근 국내 증시는 금융당국이 도입을 예고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적 기대와 미국 증시 강세 영향 등으로 꾸준히 상승 움직임을 보였다. 그만큼 투자자들의 기대감도 커진 가운데 이달 중 발표될 당국 정책의 세부 내용, 주요국 기준금리 관련 시장 심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각종 이벤트 등은 연휴 이후 주목할 만한 변수로 꼽힌다.
     


    지난 8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74포인트(0.41%) 오른 2620.32에 마감했다. 지수는 지난달 26일부터 이날까지 2주 동안 6% 넘게 올랐다. 금융, 보험, 자동차 등 주로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업종이 눈에 띄는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정부가 예고해 온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가 꾸준히 반영된 결과로, 이달 하순쯤 발표될 구체적 실행 계획이 이런 흐름의 연장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저평가) 해소를 목표로 일본 증시 정책을 참고해 준비되고 있는 밸류업 프로그램에는 상장사들의 낮은 PBR을 끌어올릴 방안이 담긴다.
     
    일본 도쿄거래소는 작년 4월 PBR이 1배를 밑도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 가치 개선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공시·이행해 달라고 요구했다. 일본 기업들은 자사주 매입을 통해 PBR 지표의 분자인 시가총액을 끌어올리는 한편, 자사주 소각과 배당 확대로 분모인 자본을 줄이는 방식으로 지표 개선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일본 증시가 30여년만의 호황기를 맞이한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거론된다.
     
    국내 증시 상장사들 사이에서도 시장 기대에 부응한 주주환원 강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는데 당국 정책을 통해 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을 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단순 권고에서 그치지 않고 일본 대비 상장사 의무를 보다 강조한 조치가 나온다면 좋은 증시 분위기가 더 이어질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휴 휴장 이후 개장일인 13일 밤 발표될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지표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물가 안정에 대한 확신을 기준금리 인하의 전제 조건 격으로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1월 CPI 상승률이 전년 대비 2.9%로 전달(3.4%)보다 완화될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 예상치를 웃돌 경우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위험자산 선호 심리 확산 여부는 1월 CPI에 달려있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보다 장기적으론 오는 3월20일(현지시간) 발표될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발표에 대한 주목도가 높다. 최근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주요 인사들은 ‘3월부터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과도하다는 취지의 견제성 발언들을 계속해왔다. 이로써 인하 예상 시점은 5월로 미뤄졌지만, 여전히 시장에선 연준 예상(0.75%포인트)보다 더 큰 폭(1.25%포인트)으로 올 한 해 동안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때문에 연준이 3월 발표 땐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담은 점도표를 통해 올해 금리 인하 예상치를 기존보다 축소해 느슨해진 시장에 다시 긴장을 불어넣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주식 등 자산가격이 강세를 이어가고, 미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올라가면 연준은 보다 매파적인 행보를 보일 수 있다”며 “현실화되면 증시 조정 포인트로 작용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미국 CPI 발표와 연준 발표 사이인 오는 22일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도 예정돼 있다. 한은도 물가 불확실성을 들어 연준과 유사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이번에도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한편 미국을 중심으로 상업용 부동산 대출 부실화 우려와 맞물린 지역은행의 위기가 재차 부각되고 있는 만큼 이 이슈의 전개 양상에도 당분간 시장의 시선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

    [ad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