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거리 물가 3년 전보다 19%↑…식비 탓에 저소득층 ‘직격탄’|동아일보

    먹거리 물가 3년 전보다 19%↑…식비 탓에 저소득층 ‘직격탄’|동아일보

    [ad_1]

    농경연, ‘농식품 물가 이슈, 진단과 과제’ 보고서 발간

    농축수산물 물가, 설 전후보다 명절 기간에 가장 비싸

    “물가 대책, 선택과 집중…저소득층 두텁게 지원해야”

    과일 수급 불안정과 높은 국제 곡물 가격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먹거리 물가가 3년 전보다 19%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먹거리 물가 상승은 고소득층보다 식생활 지출이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에 영향이 컸다. 물가 대책 수립 시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9일 농촌경제연구원의 ‘농식품 물가 이슈, 진단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농축수산물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 같은 달 대비 19.3% 올랐다. 국제 원자재 가격 및 노동시장 변화로 인한 인건비 상승, 기상 악화 및 농축산물 질병 발생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농축산물의 물가 추이를 품목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12월 기준 곡물과 채소 소비자물가지수는 각각 105.2, 111.7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112.7)를 밑돌았다. 하지만 과일의 경우 기상이변으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전년보다 25.7% 상승한 143.8을 기록했다.

    농축수산물의 물가 증감률은 명절 전후로 더 많이 상승했다. 지난 20년(2003년 11월~2023년 12월) 농축수산물 물가는 명절 기간에 가장 크게 올랐다. 농축수산물 가격의 경우 설 명절 전에는 3.3% 상승했다가 명절 기간 4.9%까지 올랐다. 이후 설 명절 후에는 0.4%로 상승폭이 축소됐다.

    대추를 제외한 성수품 9종의 물가 역시 설 명절 전(0.4%)이나 명절 후(1.5%)보다 명절 기간(3.6%)에 가격이 가장 비쌌다. 구체적으로 보면 채소류는 설 명절 기간 7.2% 상승했으며 뒤이어 과실 4.8%, 축산물 1.7% 등이 뒤따랐다. 곡물과 기타 농산물의 경우 20년 평균 증감률이 0.0%로 물가가 다른 품목군에 비해서 안정적이었다.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은 저소득층일수록 충격이 컸다. 지난해 3분기 기준 가구당 월 소득은 503만3000원이지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득은 448만7000원으로 2019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하지만 작년 3분기 농식품 물가의 상승을 고려한 농식품 실질소득은 2019년 3분기(462만9000원)보다 9.0% 하락한 421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저소득층일수록 식품비가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농식품 물가가 상승할 때 저소득층이 식생활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10분위(상위 10%) 가구의 경우 식품 지출비 중 외식 지출 비율이 53.2%로 높았으며 농축수산물 지출 비율이 21.5%였다. 반면 1분위(하위 10%) 가구는 농축수산물 지출 비율이 31.8%로 농축산물 가격의 변화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체감했다.

    저소득층 가구의 농축수산물 지출액은 품목별로도 차이가 났다. 1분위 가구는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과실(16.9%)의 지출 비중은 적고 채소(22.4%)나 곡물(11.5%) 비중은 높은 편이었다. 축산물 지출도 다른 소득계층은 30~40%대 비중을 보였지만, 1분위(28.3%)는 유일하게 20%대에 머물렀다.

    보고서는 농식품 물가는 생산자의 생계와도 직결돼 농식품 물가 상승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게 되면 생산자 소득과 생산 유인이 잠재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결국 물가 부담은 가중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생산자에게 부담을 주기보다는 상호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물가 대책의 경우 농축산물 할인 지원 규모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지만 품목이 다양화되고 있어 한 품목당 할당되는 예산액은 크게 증가하기는 어렵다”면서 “구입 비중이 낮은 품목들까지 대거 포함하는 방식이 아니라 확실히 체감할 수 있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체감 물가를 크게 낮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농식품 물가가 변동했을 때 가장 크게 타격을 받는 계층은 저소득층이다”라며 “정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얇게 지원하기보다는 농식품 고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저소득계층에게 두텁게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세종=뉴시스]

    [ad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