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_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현행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를 유지하며 통합형 비례정당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그 결과 사실상 위성정당을 창당하게 된 점에 대해서는 국민 앞에 사과했다.
李, 준연동제 취지 살려 민주당 주도 준위성정당 추진
이 대표는 5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준연동제는 불완전하지만 소중한 한 걸음이다. 과거 회귀가 아닌 준연동제 안에서 승리의 길을 찾겠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총선부터 병립형을 준연동형으로 바꿨으나 국민의힘이 위성정당을 창당하고 민주당이 맞대응함으로써 그 목적을 이루지 못했다”라며 “위성정당을 금지하라는 국민적 요구에 따라 민주당은 위성정당 금지 입법에 노력했지만 여당의 반대로 실패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거대양당 한쪽이 위성정당을 만들면 패배를 각오하지 않는 한 다른 쪽도 맞대응할 수밖에 없다. 칼을 들고 덤비는데 맨주먹으로 상대할 수는 없다”라며 “그렇다고 병립형 회귀를 민주당이 수용할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권역별 병립형은 지역주의 완화와 민주당에 유리하지만 소수정당이 피해를 입는다”라며 “여당의 위성정당 창당에 맞대응하는 위성정당 창당은 반칙에 반칙으로 응수하는 정당방위지만 준연동제를 껍데기로 만든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에 이 대표는 준연동형제를 유지하되 통합형비례정당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서생적 문제의식과 상인적 현실감각으로 이상을 추구하되 현실을 인정하겠다”라며 “정권심판과 역사의 전진에 동의하는 모든 세력과 함께 위성정당 반칙에 대응하면서 준연동제의 취지를 살리는 통합형비례정당을 준비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민주개혁선거대연합’을 구축하여 민주당의 승리, 국민의 승리를 이끌겠다”라며 “민주개혁세력의 맏형으로서 더불어민주당이 주도적으로 그 책임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위성정당 논란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 점에 대해 고개 숙여 사과했다. 이 대표는 “반칙이 가능하도록 불완전한 입법을 한 것을 사과드린다. 약속 드린 위성정당 금지 입법을 하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라며 “결국 준(準)위성정당을 창당하게 된 점을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지역후보 내는 과정서부터 연합”…총선 후엔 합당 가능성
이 대표는 광주에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가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절반은 위성정당, 절반은 연합플랫폼”이라며 “반반쯤 섞여 있기 때문에 준위성정당이라고 표현했다”고 설명을 이어갔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의 위성정당과는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우리 민주당만 지향하는 후보가 아니라, 민주당이 아닌 준연동형 제도가 추구하고자 했던, 추구하고 있는 소수정당들, 소수 정치세력의 후보들도 배제되지 않도록, 100%는 아니지만 상당 정도는 비례의석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께한다는 점에서 다르다”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통합형 비례정당에 참여하는 정당들과 지역구 후보를 내는 과정에서부터 연합을 하게 될 것이란 점도 내비쳤다.
이 대표는 “문제는 지역구를 포함한 전체 선거 전반에 대해서 어떤 협력 체계를 구축할 것이냐 일 것”이라며 “지역구 문제를 포함해서 비례선거까지 선거에 관한 대연합 할 수 밖에 없다는 현실적인 판단이 들었다”고 답했다.
다만 총선 후에는 통합형 비례정당이 민주당과 합당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통합형 비례정당이) 임시정당이기 때문에 영속하는 건 말이 안 된다. 그래서 준위성정당이라고 표현한것”이라며 “꼼수가 아니라 상대의 반칙에 대응하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피할 수 없는 대응이라고 생각해주면 좋겠다”라고 부연했다.
이 대표는 다만 송영길 전 대표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등이 비례정당 창당을 예고한 상황에서 어떤 정당이 소수정당 범위에 포함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금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특정하기는 매우 어렵다”라고 즉답을 피했다.
이 대표는 “어느 정도가 될지는 역시 시민사회나 해당 당사자 정당들, 또 우리의 입장, 그리고 더 크게는 이 표심의 왜곡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향후 의원총회와 당원들의 의견 수렴 과정도 거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 당의 주인이라고 할수있는 마치 국가 주인 국민인 것처럼 이 당의 주인인 당원들의 의견도 수렴해야 한다”며 “그러나 그것이 꼭 100% 당원투표 이런 형식을 취할 건지는 고려해볼 필요가 있겠다”라고 말했다.
[ad_2]